<교육원리연구> 게재 원고 작성 양식
2017년 10월 개정
1. 원고 제출 방식과 분량
1) 원고는 한글(hwp) 파일로 작성하여 온라인으로 제출한다.
- 학회 온라인 논문투고시스템(http://submit.edaca.newnonmun.com/admin/login.php)에 접속하여 논문을 투고한다.
- 논문을 투고할 때, 저작권 활용동의서, 연구윤리서약서 및 연구윤리자가점검표, 논문유사도 검사결과를 함께 제출해야 한다.
2) 원고의 첫 페이지에 다음과 같은 내용의 저자 인적사항을 기록한다. 이는 공동저자 모두에 해당한다.
단, 심사를 위해 본문에서는 인적사항을 일체 밝히지 않는다.
- 논문명: (한글) (영문)
- 저자명: (한글) (한자) (영문)
- 소속기관명: (한글) (영문)
- 직위:
- 연락처:
- 전자메일:
- 논문의 저자가 2인 이상인 경우에는 제 1저자(교신저자 포함)와 공동저자를 명확히 구분하여 기재한다. 공동저자의 경우 제 1저자를 맨 앞에 기재하고 교신저자는 각주를 달아 표기한다. 학회지상에 저자를 소개하는 경우에 별도로 적시된 사항이 없으면 가장 먼저 소개된 저자를 제 1저자 및 교신저자로 한다.
- 공시사항(학위논문, 연구비 지원, 그 외 이해관계 등)은 논문제목에 각주를 달아 기재한다.
- 학위논문의 제1저자는 학위수여자이어야 하며, 학위수여자 외에 지도교수 1인에 한하여 공동 혹은 교신저자로 허용한다.
3) 제출하는 원고의 분량은 본 원고작성양식에 따라 편집하여 인쇄했을 때 (참고문헌을 포함하여) 전체 20페이지 이내를 원칙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 이보다 많을 수 있다.
4) 국문초록은 논문의 처음, 논문명 다음 부분에 10줄 내외로 제시하고, 영문초록은 참고문헌 뒤, 논문의 맨 뒤에 250단어 이내로 제시한다.
- 국문초록과 영문초록은 연구목적, 연구방법, 연구결과, 결론을 포함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 국문초록과 영문초록의 말미에는 주요어 혹은 키워드(key words)를 기재한다. 주요어는 국영문 모두 5개 이내로 기술하고 가능한 국문과 영문을 동일하게 기재한다.
- 영문 논문의 경우 10줄 이내의 국문 초록을 논문 말미에 첨부한다.
2. 편집 규격과 양식
1) 원고는 B5용지에 글꼴 휴먼명조, 글자크기 10, 장평 95, 자간 3, 여백지정(상․하 20, 좌․우 25, 머리말․꼬리말 10, 제본 0), 들여쓰기 15, 줄간격 170으로 맞추어 작성한다.
2) 원고의 구성: 원고는 저자 인적사항, 논문제목과 국문초록, 본문, 참고문헌, 영문초록 순으로 구성하며 각각은 별도의 페이지로 시작한다.
3) 제목 번호 부여 및 글자 크기
- 논문 제목 (가운데 정렬, 16pt, 진하게)
- 1단계: I, Ⅱ, Ⅲ, … (가운데 정렬, 12pt, 진하게)
- 2단계: 1, 2, 3, … (양쪽정렬, 10pt, 진하게, 들여쓰기 0pt)
- 3단계: 1), 2), 3), … (양쪽정렬, 10pt, 들여쓰기 10pt)
- 4단계: (1), (2), (3), … (양쪽정렬, 10pt, 들여쓰기 10pt)
- 단순나열: ①, ②, ③, … (양쪽정렬, 10pt, 들여쓰기 10pt)
- 초록: 휴먼명조, 글자크기 9.5, 들여쓰기 10, 줄간격 160, 장평 95, 자간 -5으로 하고, 말미에는 주요어를 기재한다.
- 각주: 휴먼명조, 글자크기 9, 장평 95, 자간 -5
4) 문자: 논문은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의미에 혼동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 )속에 한자 또는 원어를 써넣는다. 한자와 원어를 같이 쓰는 경우 한자, 원어의 순서로 한다. 원어 사용 시 고유명사나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모두 소문자로 표기한다.
- <예시> 사상(事象), 선진(the more advanced), 교류교육(交流敎育, an alternating education)
3. 문장 부호
1) 온점 .
모든 문장의 끝에는 온점을 찍는다.
2) 반점 ,
- 문맥상 필요한 경우, 구나 절이 끝나는 지점에 반점을 찍는다.
- 본문에서 인용하는 저자명이 2인 이상일 경우와 참고문헌의 다수 저자를 구분할 때 사용한다.
3) 가운뎃점 ․
동등한 수준의 단어를 병렬적으로 나열할 경우 단어 사이에 사용하며 특히 반점과 혼동될 염려가 있을 때 사용한다.
- <예시> 년․월․일의 어떤 시간 단위로도 계산할 수 없는 무한히 긴 시간
4) 생략표 …
글의 중간(중략)을 생략할 경우, 마지막 글자에서 한 간 띄우고, 가운데 점 세 개를 표시하는 문자를 문자표에서 찾아 입력한 후, 다시 한 간을 띄운다. 단, 직접인용문 등에서 글의 앞부분(전략)이나 끝부분(후략)을 생략할 경우에는 생략표를 사용하지 않는다.
- <예시> 그것은 잠정적인 가설에 따라 모험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생성된다.∨…∨자기가 확신하지 못하는 가설을 좇아 행동하고,∨…∨스스로 모험을 감행한다.
5) 따옴표 사용법
주술구조가 완전한 문장이 올 때에만 큰따옴표를 사용하고, 단어, 구, 절의 경우에는 모두 작은따옴표를 사용한다. 단, 질적 연구 등 연구의 관행 상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예외를 적용할 수 있다.
- <예시> ‘언어외적 맥락’, ‘일상적 경험의 양상’, ‘교육본위론’, “교사는 많은데 스승은 적고 학생은 많은데 제자는 적다.”
- <예시>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Bernstein(2001)은 ‘총체적으로 교육화된 사회(totally pedagogised society)’의 특성에 대해, “첫 번째로 ‘pedagogy’는 일상생활의 가장 근원에 있는 정신들을 침탈했다. 두 번째로 인간들은 근대사회가 ‘pedagogy화’되는 움직임에서 빠져나올 수 없게 되었다.”(전상진, 2011에서 재인용)라고 지적함으로써 ‘교육화’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내 보였다.
6) 괄호 ( )
- 단어, 구, 절 등의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 원어를 표기하거나 부연 설명을 할 때 사용한다. 특히 관례상 문장 속에서 부연설명을 위해 줄표(-) 또는 괄호( )를 사용하지만, 가급적 필요한 내용은 각주로 처리한다.
7) 작은 괄호 < >
표 번호, 본문 중에서 인용되는 논문 제목 등을 제시할 때 사용한다.
- <예시> <표 1>, <사대스승의 메타교육>
8) 큰 괄호 [ ]
그림 번호, 본문 중 인용되는 단행본이나 연속간행물의 제목, 언어학적 텍스트에서 소리를 표기할 때 사용한다.
- <예시> [그림 1], front[frʌnt], 강가[강까], [학문과 교육(하): 교육적 인식론이란 무엇인가]
9) 쌍점(콜론) :
책 또는 논문 제목의 부제를 제시할 때 쓴다. 인용문의 경우 문장 속에서 단어, 구, 절 등을 종속적으로 부연할 때 쓴다.
10) 쌍반점(세미콜론) ;
인용 혹은 참고한 문헌을 여러 개 열거할 때 사용한다(아래 ‘4. 인용’참고).
4. 인용
1) 직접 인용
- 인용하는 내용이 짧은 경우에는 따옴표를 사용하여 본문 속에 기술하고, 긴 경우(3행 이상)에는 본문에서 따로 떼어 기술한다. 따로 기술하는 경우에는 인용 부분의 아래위를 한 줄씩 비워 본문과 구분하되, 처음과 끝에 큰 따옴표나 작은 따옴표를 쓰지 않는다.
- 인용문이 끝나면 온점을 찍고 한 칸을 띄운 다음 괄호 안에 인용출처를 표기한다.
- 직접 인용문은 글자크기 9.5, 들여쓰기 10, 좌․우 여백 20, 줄간격 160으로 한다.
- <예시> 그러면 인정은 자동적으로 따르게 될 것이다.∨(Bayles & Orland, 1993/2006, pp. 71-73)
2) 간접 인용(요약ㆍ정리)
- 한 문장만 요약ㆍ인용할 경우 문장의 서두 혹은 말미에 인용임을 밝힌다.
- 여러 문장 또는 한 문단 전체가 요약 인용일 경우에는 첫 문장에서 인용임을 명시하고 나머지 문장에서도 인용임을 최대한 밝혀주어야 한다.특히 표절 시비를 예방하기 위해 간접인용의 경우에도 가급적 모두 페이지수를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한 저서에서 여러 쪽을 인용하는 경우, 제일 처음 인용문에 저자와 발행연도를 적고, 두 번째부터는 페이지수만 적는다.
- <예시> 장상호(1998)에 따르면, … 이다(p. 50).
- <예시> … 라는 주장이 있다(Hanson, 1961, pp. 131-135).
- <예시> Rorty(1979)에 따르면, … 이다(p. 23). 또한 … 에 대해서도 언급하였고(pp. 100-111), …를 설명하였다(pp. 125-127).
3) 인명 표기
외국인명의 경우, 본문 중에 나오는 인명은 모두 원어로 성(姓, family name)만 적고 (필요한 경우) 괄호 안에 논저의 발행연도를 표기한다.
- <예시> Lippitz(1988)는 … 또한 Lippitz(1999)가 주장한 대로 …
- <예시> Stake(1967)에 의하면 … Stake는 …
4) 인용의 출처 제시
(1) 인용하는 저서나 저자명이 본문에 나타나는 경우에는 괄호 속에 발행 연도만 표시한다.
- <예시> 이 문제에 관하여 홍길동(1993)은 …
(2) 인용하는 저서나 저자명이 본문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부분 말미에 괄호를 치고 그 속에 저자명과 발행 연도, 해당 면 등을 표시한다.
같은 저자의 다른 문헌들 사이는 반점을 찍고 발행연도 오름차순으로 나열하고, 서로 다른 저자의 문헌들 사이는 쌍반점( ; )으로 가른다.
여러 문헌을 동시에 인용하는 경우, 국문 문헌을 먼저, 영문 문헌을 나중에 나열하고, 저자명의 사전식 배열에 따라 나열한다. 이때 외국인명은 해당언어로 성(姓, family name)만 적는다.
- <예시> 장상호(1998)에 따르면, … 이다(p. 50).
- <예시> … 라는 주장이 있다(Hanson, 1961, pp. 131-135).
- <예시> 연구(홍길동, 1992, 1996, 1999; Anderson, 1990; Lippitz, 1988)에 의하면 …
(3) 저자가 2-3인일 경우, 저자를 모두 표시하되 국어 이름은 “ , ”로 구분하고 영어 이름은 “&”로 연결한다.
- 첫 인용에서는 이름(영어권의 경우에는 성) 모두를 표기하고, 같은 문헌이 반복될 때 반복 인용에서는 제 1저자의 이름(외국인일 경우 성) 뒤에 외(外)로 표기한다.
- <예시> 2인일 경우 첫 번째 인용 및 반복인용: 최성욱, 신기현(1998, p. 55)은 … , 최성욱과 신기현(1998, p. 55)은 … , Choi & Shin(1998)은 …
- <예시> 3인일 경우 첫 번째 인용: 최성욱, 신기현, 한수연(2013)은 … , 최성욱, 신기현과 한수연(2013)은 …, Choi, Shin, & Han(2013)은 …
- <예시> 3인일 경우 반복인용: 최성욱 외(2013)는 … , Choi et al.(2013)은 …
- 저자가 4인 이상일 경우에는 첫 인용, 반복 인용 모두 제 1저자의 이름(외국인일 경우 성) 뒤에 외(外)로 표기할 수 있다.
- <예시> 홍길동 외(2014)는 … , … 제안했다(홍길동 외, 2014). 위트록 외(Wittrock et al., 1986)는 …, … or an increasing provocation pattern(Anderson et al., 2000).
- 이름과 발행연도를 ( )안에 표기할 경우 최종 저자 앞에는 “ , &”로 표기한다. 단, 저자가 2인일 경우 & 앞에 반점(,)를 찍지 않는다.
- <예시> (최성욱, 신기현, 한수연, 1998), (Worthen & Sanders, 1990), (Worthen, Hanson, & Sanders, 1990)
(4)번역본을 인용하는 경우, 직접 인용에서는 ‘원년도/번역년도, 페이지수’의 형태로 표기한다. 간접 인용에서도 이 형태를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원저작년도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번역년도’와 같이 쓴다.
- <예시> … 이다(Tyler, 1971/1995, pp. 56-58).
- <예시> … 주장하였다(Plato, /1987).
- <예시> … 제시하였다(Bowles & Gintis, 1976/1986)
(5) 직접 인용의 경우에는 인용문의 말미에 저자명, 발행연도, 페이지수의 순서대로 다음과 같이 정확하게 표시해 주어야 한다.
- <예시> 생애사 연구에서 특히 어려운 점은 …을 들 수 있다. “생애사 연구에서 가장 큰 방법론상 난점은 경험과 해석의 중층성에 있다(조용환, 1999, p. 131).” 그러므로 이러한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
- <예시> 그(카이레폰)는 델포이로 가서 대담하게도 다음과 같은 신탁을 그에게 말해 달라고 요구했습니다. … 이미 말한 바와 같이 나는 여러분이 나의 말을 가로막지를 말기를 간청합니다. … 그는 나보다 더 현명한 사람이 있는가 하는 신탁을 구했던 것입니다. 델포이의 무녀는 더 현명한 사람은 없다고 대답했습니다(Plato, /1987, pp. 13-14).
또한 본문에서 따로 떼어 기술하는 직접 인용의 경우(4-1) 참조) 인용문을 마치고 난 후 인용처를 표시한다. - <예시> 그러면 인정은 자동적으로 따르게 될 것이다.∨(Bayles & Orland, 1993/2006, pp. 71-73)
(6) 재인용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표시한다.
- <예시> (Eddington, 1927, p. 51. Davies, /1997에서 재인용)
- <예시> (Eddington, 1927. Davies, /1997, p. 120에서 재인용)
(7) 온점이나 반점은 인용괄호 뒤에 찍고, 물음표는 인용괄호 앞에 찍는다.
- <예시> 제안했다(장상호, 1986, 1990).
- <예시> 주장했고(장상호, 1986, 1990),
- <예시> 실현 가능할 것인가?(장상호, 1986, 1990)
5. 주(註) 달기
1) 모든 주(註)는 각주(footnote)로 처리한다. 각주는 본문에 표시하기 어려운 보충적인 내용이나 설명에 한하여 사용하고, 단순히 자료의 출처나 참고문헌을 밝히는 각주의 사용은 금한다.
2) 각주번호는 조사의 앞이나 온점, 반점, 따옴표 등 문장 부호의 뒤에 오도록 한다.
6. 표와 그림
1) 표와 그림에는 일련번호를 붙이되, 표 번호는 작은 괄호 < >를 사용하여 표의 상단에 가운데 정렬하고, 그림에는 큰 괄호[ ]를 사용하여 그림의 하단에 가운데 정렬로 제시한다.
- <예시> <표 1>, [그림 1]
2) 제목과 표 내용은 글꼴 휴먼고딕, 글자크기 9, 장평 95, 자간 -5, 줄간격 150, 들여쓰기․내어쓰기․좌우여백․문단간격은 모두 0으로 하되, 내용을 알아보기 좋도록 글자크기를 키우거나 줄일 수 있다.
3) 표 및 그림은 원본 그대로를 복사 인쇄할 수 있도록 저자가 완벽하게 그려서 제출한다.
7. 참고 문헌
본문에 인용된 참고문헌만을 논문의 말미에서 빠짐없이 제시한다.
1) 일반 저서
- 여러 나라 문헌을 참고했을 경우 韓․中․日․西洋書 순으로 열거한다.
- 저자(발행연도). 제목(판). 출판도시: 출판사 이름. 순으로 표기한다.
- 단행본의 경우, 책 이름은 국문 저서는 진하게 표시하고, 영문 저서는 이탤릭체로 적는다.
- 국문 저서의 저자명은 성과 이름을 붙여 쓰고, 영문 저서의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은 다 쓰되 이름(first name)은 이니셜만 쓰고 약호표 “.”를 찍어 준다. 영문 중간명(middle name)의 경우에도 이니셜만 쓰고 약호표 “.”를 찍어 준다.
- 중문과 일문 저서는 국문 저서에 준하여 표기하고, 기타 양서의 경우에는 영문 저서에 준하여 표기한다.
- 제목과 부제목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쓰고 나머지 단어는 모두 소문자로 쓴다.
- 정기간행물의 명칭과 제목 속의 인명, 지명, 출판사명은 첫 글자 모두를 대문자로 쓴다.
- 개정판은 제목에 이어서 괄호 속에 “개정판”혹은 “수정․증보판”이라 명시한다. 영문 저서의 경우 “2nd ed.”식으로 표기한다.
- 다수 저자를 열거할 때, 국문 저서의 경우에는 ○○○, ○○○, ○○○와 같이 반점(,)로 구분한다. 영문 저서의 경우에는 “ ○○, ○○, & ○○”식으로 표기한다. 단, 저자가 2인일 경우 & 앞에 반점(,)을 찍지 않는다.
- 저자가 4인 이상인 경우에는 “○○○ 외”(국문) 혹은 “○○ et al.”(영문) 식으로 표기할 수도 있다.
- <예시> 황정규(1984). 학교 학습과 교육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 <예시> 이종각(1997). 교육인류학의 탐색 (수정․증보판). 춘천: 도서출판 하우.
- <예시> 성내운, 한기호, 김상봉(1983). 세 학교의 이야기. 서울: 학민사.
- <예시> 서상용, 장정래, 김병기, 민영식, 구영교, 이민서, 강경수(1991). 대학 교양과학교육의 현황 및 개선방안. 한국과학기술진흥재단.
- <예시> 서상용 외(1991). 대학 교양과학교육의 현황 및 개선방안. 한국과학기술진흥재단.
- <예시> Hanson, N. R. (1961). Patterns of discovery: An inquiry into the conceptual foundations of science.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 <예시> Deci, E. L., & Ryan, R. M.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Plenum Press.
- <예시> Marshall, C., et al. (1989). Culture and education policy in the American states (2nd ed.). New York: The Palmer Press.
2) 편저
- 편저자 다음에 “편”이라 표기한다. 영문 편저의 경우 “Ed.”(단독 편저) 혹은 “Eds.”(다수 편저)로 표기한다.
- <예시> 대원정사 편(1987). 불교에서 나온 말. 서울: 대원정사.
- <예시> 송영배 편(1997). 제자백가의 사상. 서울: 현음사.
- <예시> 이인효, 이혜영, 김정원, 류방란, 오성철 편(1991). 교육과 사회. 서울: 교육과학사.
- <예시> 이인효 외 편(1991). 교육과 사회. 서울: 교육과학사.
- <예시> Carrithers, M., Collins, S., & Lukes, S. (Eds.)(1985). The category of the person: Anthropology, philosophy, history.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역서
- 원서를 제시한 다음, 번역서를 제시한다.
- 발행년도는 “원년도/번역년도”로 표기한다.
- 역자 다음에 “역”이라 표기한다. 영문 역서의 경우 “Trans.”로 표기한다.
- 편집하여 번역한 경우 편저자 다음에 “편역”이라 표기한다. 영문 편역서의 경우 “Ed(s). & Trans.”로 표기한다.
- <예시> 우현민 역해(1983). 논어. 서울: 한국서적공사.
- <예시> 劉笑敢(1988/1998). 莊子哲學及其演變. (최진석 역. 莊子哲學. 서울: 소나무.)
- <예시> Derrida, J. (1967/1973). La voix et le phénomène: Introduction au problème du signe dans la phénomènologie de Husserl. (D. Allison, Trans. Speech and phenomena and other essays on Husserl's theory of signs. Evanston: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 <예시> Ling, T. O. (1979/1990). Buddha, Marx and God. (김형찬 역. 붓다, 마르크스 그리고 하느님. 서울: 고려원.)
4) 논문
- 논문이 위치한 저서/편저/역서 속의 페이지를 괄호 속에 표기해 준다. 논문 필자와 그 논문이 위치한 저서/편저/역서의 저자가 다를 경우, 논문에 이어서 해당 저서의 발행연도를 제외한 서지사항을 반복해서 기재한다. 단, 동일 저자의 저서 속 논문은 저자명을 반복해서 기재하지 않는다.
- <예시>장상호(1994). 또 하나의 교육관. 이성진 편. 한국교육학의 맥, 291-326. 서울: 나남출판.
- <예시> 조용환(1999). 질적 기술, 분석, 해석.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37-77. 서울: 교육과학사.
- <예시> Oakeshott, M. (1934). The new Bentham. in F. R. Leavis (Ed.), Determinations, 59-76. London: Chatto and Windus.
- 학술지를 위시한 정기 간행물 속의 논문은 필자(발행연도). 논문명. 학술지명, 권(호), 페이지, 발행처(필요할 경우) 순으로 기재한다.
- 논문이 실린 학술지명은 국문일 경우 굵게 표시하고 영문일 경우 이탤릭체로 표시한다.
- <예시> 장상호(1999). 교육적 반전의 내재율에 비추어 본 고대희랍의 교육삼대. 교육원리연구, 4(1), 1-62. 교육원리연구회.
- <예시> Schommer, M. (1993). Epistemological develop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among secondary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5(3), 406-411.
5) 학위논문
- 학위논문은 필자(발행년도). 논문명. 학위구분. 학위수여기관. 순으로 기재한다.
- <예시> 엄태동(1998). 교육적 인식론 연구: 키에르케고르와 폴라니의 교화적 방법에 대한 교육학적 고찰.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 <예시> Gold, N. C. (1981). Meta-evaluation of selected bilingual education projec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ssachusetts.
6)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서는 연구자(발행연도). 보고서명. 연구기관. 연구물 일련번호(있을 경우). 출판사(있을 경우) 순으로 기재한다.
- <예시> 교육개혁위원회(1995).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는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 제2차 대통령보고서.
- <예시> 조용환 외(1990). 외국 교과서 한국관련내용 연구의 종합적 검토.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90-2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예시> 조용환, 김회목, 이찬희, 한국교육개발원(1990). 외국 교과서 한국관련내용 연구의 종합적 검토.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90-2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7) 자료집
- 자료집은 그 명칭과 성격을 명시하고 (필요한 경우) 이어서 행사 장소를 표기해 준다.
- <예시> 교육인류학연구회 편(1998). 교육연구의 질적 접근, 그 방법과 쟁점. 교육인류학연구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광주교육대학교.
- 자료집 속의 논문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 <예시> 홍용희(1998).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교육인류학연구회 편. 교육연구의 질적 접근, 그 방법과 쟁점, 33-53. 교육인류학연구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광주교육대학교.
8) 잡지 기사
- <예시> 조용환(1991). 학교에 대한 기대와 교육의 방치. 사학, 통권 제58호, 22-28. 서울: 대한사립중고등학교장회.
- <예시> Toch, T. (1993). The perfect school. US News & World Report (January 11), 46-61.
9) 신문 기사
- <예시> 권장희(2000). 비정상적 행위에 보통관객 등 돌려. 동아일보 2000/1/19.
- <예시> Schwarts, J. (1993). Obesity affects economic, social status. Washington Post 1993/9/30.
10) 전자 매체, URL 등 인터넷 간행물의 표기
- 인터넷에서 정보를 인출한 경우 자료 원천의 이름과 (혹은) 주소를 적은 후 인출한 날짜의 연월일을 구분하여 적고 “ … 에서 인출”이라고 적어 문장을 끝낸다. 반드시, URL과 인출한 날짜를 기입한다.
- <예시>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2001, August 1). APA style for electronic resources. http://www.apastyle.org/styleelecref.html에서 2001/9/5 인출.
- 인터넷의 비정기간행물 문서의 경우 날짜가 명기되지 않고 일반 기관에서 게시한 인터넷 문서가 여러 페이지로 구성되었을 때는 그 문서가 들어간 홈페이지(혹은 첫 화면)로 연결될 수 있는 URL을 적어주고 작성 일자가 없음을 “작성일 불명”(영어는 no date를 나타내는 축약어 n.d.로 표기)이라고 명시한다. 문서작성자를 확인할 수 없는 문서는 그 문서의 제목을 저작자명으로 간주하여 제시한다.
- <예시> GVU’s 8th WWW user survey.(n.d.). http://www.cc.gatech.edu/gvu/user_ survey/survey-1997-10에서 2000/8/8 인출.
- 기타(온라인 포럼, 토론 및 온라인상에서 읽은 일간지 기사 등)
- <예시> 이정모(2000/12/24). 과학도로서의 심리학도의 자세/신조. http://www.koreanpsychology.org 회원광장 사이버특강에서 2001/10/3 인출.
- <예시> 한국일보(2001/10/12). 생명의 비밀 상자-게놈. http://www.hankooki.com에서 2003/1/21 인출.
- <예시> 함영기(1999). 교실 밖 선생님. http://webtutor.shinbiro.com에서 1999/9/25 인출.
11) 여기에 정하지 않은 사항은 APA style을 따른다.